본문 바로가기

후각과뇌

(2)
냄새는 언제 처음 기억될까 – 영아기 후각 발달과 감정 각인의 시작 이유는 몰랐지만 익숙했던 향, 그 시작의 단서 사람들은 보통 유년기의 기억이 언어를 익히고 사고력이 생긴 뒤부터 시작된다고 생각한다. 하지만 나는 감정이라는 측면에서 그보다 훨씬 이전의 흔적이 남아 있다는 걸 느낀 적이 있다. 어느 날 문득, 낯설지 않은 냄새 하나가 나를 설명할 수 없는 편안함으로 감쌌다. 따뜻하고 약간의 비누 향이 섞이는 냄새는 순간적으로 안도감과 함께 다정한 감정까지 불러왔다. 무의식적으로 눈을 감게 되었고, 마음이 차분해졌다. 그 향은 어릴 적 내 몸을 감싸던 어떤 존재의 체취였을지도 모른다. 나중에 어머니께서 체취의 정체에 대해서 말씀해 주셨다. 내가 아기였을 때 나를 자주 안아주던 사람이 외할머니였다. 외할머니께서 늘 쓰던 비누가 그런 향이 났기에 그 냄새에 대해서 알고 있었..
체취에 민감한 사람들의 뇌 구조 - 후각 과민의 과학적 원인 나는 왜 유난히 냄새에 예민할까? 나는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면 늘 코를 먼저 막는다. 친구들이 “지하철에서 무슨 냄새가 나? ”라고 할 정도로 나에게 물어볼 정도로 냄새에 민감하다. 특히 사람의 냄새인 체취에는 더욱 예민하게 반응한다. 땀 냄새, 향수 냄새, 옷에 밴 섬유유연제조차도 나에겐 고통이다. 샤워 후 깨끗한 사람에게서도 나는 미세한 체취에 반응한다. 또한, 그 냄새가 한 번 인식되면 머릿속에서 쉽게 사라지지 않는다. 처음에는 나 자신이 까다로운 성격이라 그런 줄 알았다. 하지만, 우연히 읽은 한 논문에서 ‘후각 과민(Hyperosmia)’이라는 용어를 접한 후 모든 퍼즐이 맞춰지기 시작했다. 이 글에서는 후각 과민이라는 신경학적 현상이 왜 나타나는지, 체취에 민감한 사람들의 뇌 구조가 어떻게 다..